Happymum (gayong19)
프로필     
전체 글보기(4362)
I, Me, Myself
오픈다이어리
Happy mum
Living in England
잡동사니 그리고 책 구경
My mp3 & music lesson
영화,연극,드리마 & TV
Lazy Traveller
Likes 그리고 전시회
Interior(공간의 미학)
Homesick Restaurant & Foods
I Love Seoul
할머니,할아버지 보세요
Good Grief(Snoopy)
견물생심 & made by happymum
스크랩 그리고 자료실
from 중고품점 & 벼룩시장, e-bay
교정일기
개설일 : 2003/10/27
 

이런 사람과 결혼 하지 않은것은 정말 하늘의 축복 입니다

2006.02.09 05:35 | 잡동사니 그리고 책 구경 | Happymum

http://kr.blog.yahoo.com/gayong19/1374183 주소복사

印 새신랑, "지참금 적다"며 예식장서 줄행랑


인도의 한 새신랑이 지참금이 적다는 이유로 결혼식장에서 줄행랑을 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오토릭샤 운전사인 새신랑 라지브 쇼(31)는 지난 5일 콜카타 인근 도시인 치트푸르의 예식장에서 신부 가족들에게 오토바이를 사달라고 요구했다가 거절당하자 결혼식을 하다 말고 식장을 빠져나가 잠적해 버렸다.

신부측에 따르면 양가는 지난해 11월 사돈을 맺기로 하고 지참금조로 6만5천루피(1천480달러)의 현금과 가구, 주방용품, 예물 등을 건넸는데 예비 사위인 쇼가 결혼식 당일 갑자기 오토바이를 사달라는 새로운 요구를 내놨다.

신부 엄마인 우르밀라 데비는 “장인될 사람은 시골의 조그만 전기제품 가게에서 일하는 가난한 노동자”라며 “딸을 시집보내려고 모든 세간을 팔아치웠기 때문에 지금 우리 우리 형편에서 오토바이는 도저히 무리였다”고 말했다.

경찰은 지참금을 부당하게 강요한 혐의로 신랑의 아버지와 중매인을 체포하고 현재 라지브를 찾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6일 밝혔다.

인도 정부는 지난 1961년부터 지참금을 주고받는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했지만 4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지참금 관행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 있다.

현지 인권단체는 지참금을 적게 가져왔다는 이유로 시집 식구들에게 살해당하거나 자살하는 여성만 매년 1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어제 이 기사 읽다가 밤에 혈압이 무척 올랐다...

그리고 위의 두 사진은 내가 가지고 있는 내셔널 지오그라픽

에서 몇주전에 발견한 사진인데, 지참금이 적다는 이유로

남편이 그녀의 얼굴을 난로속으로 쳐 넣었다고...

정말 싫다.

인습

악습

구습

그리고 남존여비..........................다시 혈압 올라간다..



꼬리글  :  더 찾은 자료들..



방글라데시 ‘산(酸) 생존자 기금(ASF·Acid Survivors Foundation)’이사장인 모리나 라만 씨가 3월 독일 베를린에서 국제사면위원회(AI) 독일지부 인권상을 받는다. ASF는 염산 초산 등 강산성(强酸性) 약품을 얼굴에 쏟아 붓는 폭력을 경험한 여성들을 돕기 위해 라만 씨가 설립한 단체.

독일 ‘쥐트도이체 차이퉁’ 최근호는 라만 씨의 수상을 계기로 방글라데시의 열악한 여성 인권 상황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ASF의 노력을 조명했다.

방글라데시에서 약품을 사용한 폭력은 흔한 일이다. 2000년 이후 매년 400건이 넘게 보고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상을 입어 얼굴이 일그러진 여인들이 대부분 집안에 숨어 지내기 때문.

대개는 청혼을 거절당한 남자들이나 지참금을 제대로 받지 못한 신랑 가족들이 범행을 저지른다. 피해를 당한 여성과 가족들은 이를 수치로 여겨 신고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성 인권단체에서 활동해 온 라만 씨도 1996년에야 처음으로 약품 테러를 당한 여성을 만났다. 이 문제에 활동을 집중하기로 결심한 그는 유엔아동기금(UNICEF) 등과 접촉해 1999년 ASF를 설립했다.

가장 큰 과제는 피해자들에게 ‘죄인이 아니므로 떳떳해야 한다’고 설득하는 것이었다. 집요한 시위와 로비 끝에 정부로부터 관련 형법 개정과 강산성 약품 판매 규제 약속도 얻어냈다. 화상 치료를 위한 첨단 시설의 병원도 곧 다카 시내에 문을 열 예정이다.

라만 씨는 힘주어 말한다. “얼굴이 일그러진 이 여인들은 희생자가 아닙니다. 역경을 이겨낸 생존자들이죠.”

http://kr.blog.yahoo.com/gayong19/trackback/10196/1374183
기본 꿈꾸는나비 2006.02.09  13:59

아이고..정말..저도 혈압 올라갑니다.....!!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워니네 2006.02.09  17:10

언제까지 이런 일이 계속 일어날런지..
가슴이 막막합니다..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토돌이 2006.02.10  00:29

아앗.. 내 친구 남편 이름이 라지브인데.. -_-;;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허보경 2006.02.10  04:49  [86.142.219.31]

영국에 사는 인디언들중에 지참금 적게 가져왔다고 신부때려죽인일 기사 나왔었잖아요..근데 저 사진...넘 끔찍합니다..나쁜놈같으니라구..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ronnie 2006.02.12  11:04

어제 TV에서 어느 파키스탄 여성에 대한 프로그램을 봤어요...
부족회의에서 결정한 형벌로 여러명한테 성폭행을 당하고.. 그들을 고소한..
그리고 오랜 재판 끝에 결국 그들의 유죄 판결을 받아낸 한 여성의 얘기...
파키스탄만 해도 매년 수도 없는 여성들이 살해 당하고 갖은 폭력에 희생되고 있는데도
그 악습을 고치기가 힘들다네요... 참...
너무 가슴이 아프고.. 답답합니다.....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sheenne 2006.02.12  22:16

참 어이없지... 우리가 사는 세상엔 이런 일도 있구나. 왜 여자가 지참금을 가져가야 하는 지... 왜 이런 악습이 없어지지 않는 지...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6.02.13  01:08

쉰느님.....나도 왜 여자가 지참금을 가지고 결혼을 해야 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가지 않음....그래서 나 결혼 할때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았잖아..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6.02.13  01:11

로니님.........파키스탄 뿐만 아니라 아직도 아프리카의 여러국가에서는
여성에게 아주 몹쓸짓도 합니다..
이런 기사 읽으면 정말 가슴이 너무 답답하고, 억울하고...
하여튼 악습은 폐지 되어야 한다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6.02.13  01:15

허보경님...제가 사는 지역에 인도인들이 많이 살아서 남의 일 같지만은 않아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6.02.13  01:17

토돌이님.....인도 이름중에서 흔한 이름인가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댓글쓰기

댓글쓰기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