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ppymum (gayong19)
프로필     
전체 글보기(4362)
I, Me, Myself
오픈다이어리
Happy mum
Living in England
잡동사니 그리고 책 구경
My mp3 & music lesson
영화,연극,드리마 & TV
Lazy Traveller
Likes 그리고 전시회
Interior(공간의 미학)
Homesick Restaurant & Foods
I Love Seoul
할머니,할아버지 보세요
Good Grief(Snoopy)
견물생심 & made by happymum
스크랩 그리고 자료실
from 중고품점 & 벼룩시장, e-bay
교정일기
개설일 : 2003/10/27
 

영화 우동 - 중국인에게 보여주고 싶은 영화

2008.10.22 20:03 | 영화,연극,드리마 & TV | Happymum

http://kr.blog.yahoo.com/gayong19/1383907 주소복사








인터넷에 누가 이 영화를 올려 놓아서, 아주 우연히

일요일 저녁에 보게 되었는데....

전에 보았던 카모메 식당류의 영화를 기대한 탓인지

제대로.......실망.

완전히 우리나라 70년대 영화 줄거리에 엄청 오버

하는 연기...

나는 영화를 보면서 다음 장면을 예측할수 있는

영화는 싫은데, 이 영화가 딱...

영화가 거의 2시간을 넘게 했는데,  우동이

먹고 싶다는 생각이 별로 들지는 않았다.

그냥.....주인공 아버지가 학교나 병원에 납품을

하는데, 정성을 다해서 면을 만드는 모습을 보면서

요즘 음식 가지고 장난치는 중국인들이 생각이 나서

중국인에게 교육용으로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이...


---BBC 뉴스 사이트에서 ---


S Korea's 'kimchi' feels the heat

Kimchi
The South Koreans have even sent kimchi into space

Sales of South Korea's national dish of fermented vegetables and spices have been hit by the economic downturn, leading to a dreaded "kimchi deficit".

The dish, which is so integral to Korean identity that there is a special museum dedicated to it in Seoul, is experiencing a trade deficit.

Domestic demand for the cheaper, Chinese-made version of the staple is thought to be affecting kimchi sales.

The country recently announced a campaign to promote Korean cuisine.

A report to South Korea's parliament found the trade deficit for the dish, usually made with fermented cabbage, radish and cucumbers combined with various spices, reached $77.3m over the last three years.

Chinese imports surged 376% from $29.4m in 2004 to $110.8m in 2007.

The kimchi slump comes just as South Korean exports were starting to regain consumer confidence after parasite eggs were discovered in some products in late 2005.

Chinese-made kimchi was also found to contain parasite eggs at the time.

Korean cooking

The campaign to promote Korean cuisine - launched by the agriculture ministry and the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 aims to quadruple the number of Korean restaurants around the world to 40,000 by 2017.

It will include spending $40m over the next two years to try to make Korean food as famous as French, Italian, Chinese, Japanese and Thai food.

There are plans to create Korean culinary schools abroad, develop and distribute standard recipes and introduce an official ratings system for overseas restaurants.



나는 정말 가끔 이해가 안되는 사람들이 있다.

왜....김치 공장을 중국에 만드는지...물론 임금,

생산비가 싸지만...김치는 한국인의 자존심과도

같은것인데..........

Chinese-made kimchi was also

found to contain parasite eggs

at the time. 

우동 이야기 하다가 김치 때문에 열받는다...

제발 ........김치 한국에서 만들어 먹읍시다...


http://kr.blog.yahoo.com/gayong19/trackback/1159673/1383907
기본 섭냥이 2008.10.22  20:17

조만간 아니, 지금도 슬슬 중국산 제품(식품을 포함) 때문에
전 세계가 기겁을 하리라 믿고있어요. 님 말씀처럼 왜 김치를 중국에서...
깨끗이 만든다면야 별말 안하겠지만 그게 되냐구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팬더 2008.10.23  00:02

저는 끝까지 못보고 중간에 그만뒀어요 ^^
음식도 예술이면 예술일텐데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8.10.23  05:13

민주대디님....엄청 유치한 영화 였죠...저도 보는데 힘들었어요...
그래도 나름 교훈을 남기려고 노력...
역시 먹는데 목숨 건 사람들 많더라구요...이 영화에서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8.10.23  05:16

섭냥이님...너무 무서워요...위험한 중국산 물건의 공포...
오늘 읽은 뉴스에서는 아이들 피부 연고가 아주 끔찍한 결과를 낳았더라구요...
게다가 기생충에 감염된 김치라고 저렇게 외국 뉴스에 나오고...정말
관리 잘해서 수입 했음 좋겠어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토돌이 2008.10.23  07:42

해피맘님 말씀에 동감. 경제적 논리보다도 더 중요한 것들이 있지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MyDaysInCan 2008.10.23  17:06

정말 화가 치밀어요 이런 소식들으면,,
저렇게 중국서 다 만들고도 나중에, 매이드인 코리아 하고 나올거잖아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MyDaysInCan 2008.10.23  17:06

캐나다도 매일반이거든요, 재료 원산지 표기 이런건 아예 없어요.
생산과정의 25프론가, 그정도만 캐나다에서 프로세스되면
매이드인 캐나다 라고 할수 가 있거든요,
무서운 중국에 대한 경계심도 거의 없구요,
외려 중국 인도와의 무역을 더 늘리려한다는
어처구니없는 무역정책주의 구요,
이젠 정말 공산품은 뭐든지 겁나요
전 진짜로 중국산에 대해서 반감이 심한편인데,,
이걸 피해 살아갈 방도가 없으니 답답하기만 해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ronnie 2008.10.25  02:46

아, 중국인들.. 대국, 대인의 나라는 무슨 개뿔.. (저 요즘 좀 과격해 졌어요~)
그게 소인배들의 나라이지.....
문제는 그들이 자기자신을 너무나도 모른다는 것이죠..
온 세계에 판치는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 자기들이 뭐 대단해서 그런 줄 알고 있다니까요..
온 세계가 현실적으론 중국이란 큰 나라를 무시하지 못하는 건 사실이지만..
개개인들은.. 중국인들, 중국제품.. 얼마나 무시하고 수준이하로 보는데..
공산주의를 거쳐오면서도 여전한 중화사상.. 우물 안 개구리도 이쯤이면 완전히~~ @@@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ronnie 2008.10.25  02:58

그래도 과거엔 아시아의 정치, 경제, 군사적 대국이면서 또한 문화, 철학, 도덕을 선도하는
덕목을 겸비하므로써 대국으로 추앙을 받았던 바..
지금 중국의 모습은 과연 무엇인지..
각종 공해와 저질 제품, 유해유독 식품을 선도하며 세계인들을 건강과 삶을 위협하는
위험, 불량 대국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겠네요..
런던에 인도인들이 엄청 많듯이 이곳엔 중국인들이 또한 엄청 많은데..
같은 아시아인으로써 부끄러울 만큼 그들의 매너 정말 형편 없어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ronnie 2008.10.25  03:05

원래 전.. 개개인의 봐야지 한 나라, 한 민족 전체를 뭉뚱그려 그들이 이렇다, 저렇다 평가하는 거
별로 좋아하지 않았었는데..
이들 중국인들 앞에선.. 저의 그런 소신까지 흔들려 지는 듯 해요.. -_-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8.10.25  20:01

로니님...저도 가끔 황당한 분들 마주하는데...그래도 그들의 중국인으로서의
프라이드 대단 하더라구요...
전 다만 전 안전과 건강을 생각해서 모든 공산품이나 식품을 누구나 걱정
없이 제조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바램 하나뿐 입니다...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8.10.25  20:03

로니님...저는 이곳에서 인도인들에게 많이 ...
영국에 이주한 역사가 길어서 자기들이 영국인 이라고 생각하고, 산 시간이
기니까, 영어가 문제가 없어서 영어에 약한 동양인들 무지 무시해요...
그리고 기질이 아주 약착 같아서 한국인 플러스 중국인 그리고 유대인을
다 섞어놓은것 같아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8.10.25  20:15

마이데이즈님...이곳도 농산물은 저임금 나라에서 거의 들어오고..
영국 원산지 표시 식품은 가격이 많이 비싸요...
그래서 여유가 되는 사람들은 오가닉 식품 주로 주문해서 먹고...
결국 삶의 여유에 따라서 식재료의 질도 좌우되는것 같아요...
그래서 결국 가난한 사람들은 정크 푸드만 먹게 되고...슬퍼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8.10.25  20:17

마이데이즈님...지독하게 품질관리 하는 체재 없이 외국에서 만든 음식을
역으로 수입 한다는 생각 자체가 아주 위험한 생각 같아요..
윗사람들은 머리로만 행정을 계획하지 말고, 좀 거시적으로 생각을 했음
좋겠어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8.10.25  20:25

토돌이님...기업가의 양심이나 책임감 이런것들이 결여된것 같아요...
중국 제품들에..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댓글쓰기

댓글쓰기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