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와 글씨의 세계를 자유롭게 넘나들었던 타악 연주의 대가 흑우(黑雨) 김대환(金大換.사진)선생이 1일 오후 7시20분 지병으로 입원중이던 서울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별세했다. 71세.
고인과 20년지기로 2일 입관식에도 참관한 한완상(韓完相) 한성대 총장은 "내가 교육부총리로 있을 때 학벌을 타파하고 상상력과 창의력 위주의 교육 시스템으로 가려고 노력했던 것은 다 金선생님을 모델로 삼았던 것이다. 살아있는 한국의 문화재를 잃었다"라며 비통해했다. 1960년대 金씨와 함께 밴드를 했던 신중현(申重鉉)씨도 "잠시도 쉬지 않고 음악 만을 고집해온 열정적인 선배"라고 회상했다.
고인은 열손가락 사이에 여섯개의 북채를 쥐고 큰북을 두드리는 독특한 연주로 유명하다. 도올 김용옥(金容沃)은 그를 가리켜 '몸 예술의 거장'이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열세살 때 처음 북채를 든 고인은 군 제대 후 미 8군에 들어가 이봉조.길옥윤.최희준씨 등과 함께 악극단을 조직, 전국을 돌며 순회 공연을 가져 한국 대중음악의 1세대로 평가받았다. 한국 그룹사운드 초대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80년대 들어 재즈 연주자로 변신한 그는 미국 인디언 페스티벌,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 등 500여회에 걸친 해외 공연에 참가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의 예술적 독창성은 음악과 양립하기 쉽지 않은 서예를 통해 더욱 빛을 발했다. 마흔살부터 세서미각(細書微刻)에 빠져든 그는 쌀 한톨에 반야심경 283자를 새겨 90년 세계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이처럼 동(動)과 정(靜)을 넘나들면서도 최고의 예술적 성취도를 유지했다는 점에서 그는 더욱 거목으로 평가됐다.
일흔이 넘는 나이에도 주 교통수단을 오토바이로 할 만큼 젊음을 뽐냈던 그는 생전에 이런 말을 자주 하곤 했다.
"인생의 길엔 '가기 위한 길'과 '걷기 위한 길'이 있다. 가기 위한 길엔 목표가 있지만 걷기 위한 길엔 목표가 없다. 나는 한번도 목표를 정하고 살지 않았다. 산책하듯 걷기만 했고, 매 순간 충실했을 뿐이다. 남들이 말하는 영예의 자리는 정말 부산물에 불과하다."
유족으로는 부인 권명희씨와 딸 지양씨가 있다. 발인은 3일 오전 6시30분. 발인 후 서울 인사동과 퇴계로, 대학로 등에서 노제가 열린다. 02-392-2299
최민우 기자 ----------------중앙일보에서 발췌-----
우선 먼저 고인의 명복을 기원 합니다
그리고 더 많은 그분에 대한 자료가 필요 하시면 이곳을 한번 방문해 보세요
http://home.hanmir.com/~takuroya/kim.html
그분의 마지막 말이 가슴에 남는다....기기 위한 길과 걷기 위한 길....
나 역시 천천히 그리고 사색에 빠질수 있는 산책과 같은 나의 삶의 길을 가고 싶다는......
|
http://kr.blog.yahoo.com/gayong19/trackback/10196/187423
-
실론t 2004.03.03 07:24 [63.204.176.153]
-
고인의 명복을기원합니다
답글쓰기
-
-
2004.03.03 07:26
-
지선씨...어떻게 불경 시디를 제게 주실 생각을 다 하셨어요
저는 불교 신자는 아닌데, 어머니가 불교신자라서 불경 듣는것 절 구경 하는것 좋아해요
답글쓰기
-
-
실론t 2004.03.03 07:30 [63.204.176.153]
-
해피맘님은 불교신자가 아니지만 음악이나 책들은 보실것같아서 드린거에여 좋아하신다니 저두좋아여
답글쓰기
-
-
2004.03.03 07:32
-
우리나라에서 불교는 종교적 차원을 넘어서
우리의 커다란 문화의 한 부분을 차지 하는것 같아요.
절---건축
불경...
절 음식...
그리고 의식...정말 아름다운 문화유산인데...
답글쓰기
-
-
sheenne 2004.03.03 23:32 [211.211.85.33]
-
요즘 나혼자 몇시간이상 악기 연습하면서 예술의 거장이 얼마나 되기 힘든 것인지 초자이지만 그분이 해오셨을 노력과 연습량을 상상해보면...
평안한 길로 가셨기를 기원합니다.
답글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