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ppymum (gayong19)
프로필     
전체 글보기(4362)
I, Me, Myself
오픈다이어리
Happy mum
Living in England
잡동사니 그리고 책 구경
My mp3 & music lesson
영화,연극,드리마 & TV
Lazy Traveller
Likes 그리고 전시회
Interior(공간의 미학)
Homesick Restaurant & Foods
I Love Seoul
할머니,할아버지 보세요
Good Grief(Snoopy)
견물생심 & made by happymum
스크랩 그리고 자료실
from 중고품점 & 벼룩시장, e-bay
교정일기
개설일 : 2003/10/27
 

선무당 돌팔이 부부의 자가 진단

2005.05.11 07:01 | 오픈다이어리 | Happymum

http://kr.blog.yahoo.com/gayong19/1367821 주소복사

 계절성우울증 [, see seasonal affective disorder]

계절성정동장애 또는 SAD라고도 한다. 계절적인 흐름을 타는 우울증의 일종이다. 가장 많은 형태는 겨울철 우울증으로 특히 가을과 겨울에 우울증상과 무기력증이 나타나는 등 증상이 악화되다가 봄과 여름이 되면 증상이 나아진다. 겨울철뿐 아니라 정기적으로 매년 여름이면 우울한 증상이 심해지고 가을이 오면 조금 나아지는 여름철 우울증도 있다. 환자의 83%는 여성이다.

겨울철 우울증의 경우 햇빛의 양과 일조시간의 부족이 에너지 부족과 활동량 저하, 슬픔, 과식, 과수면을 일으키는 생화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여름철 우울증은 여름의 더위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의 한 부분인 시상하부는 외부의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계절성우울증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적합하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겨울철 우울증의 경우에는 눈과 시상하부 사이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여름철 우울증 환자의 경우에는 신체의 열에 대한 반응에 관여하는 신경해부학적인 경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증상은 우울증 기간 동안 무기력감을 느끼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겨울철 우울증의 경우에는 우울증 기간 동안 많이 먹고 단 음식과 당분을 찾는데, 여름철 우울증의 경우에는 식욕저하·체중감소 등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또 겨울철 우울증 환자들은 우울증 기간 동안 신체적으로 늘어지는 느낌을 갖는데 반해 여름철 우울증 환자들은 초조감을 느낀다. 특히 여름철 우울증 환자는 겨울철 우울증 환자보다 더 많은 자살사고를 보이며 자해할 가능성도 더 높다. 어떤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여름철과 겨울철에 모두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치료는 매일 일정한 기간 동안 강한 광선에 노출시키는 광선요법이나 주위를 시원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약물치료로는 항우울제를 투여하며, 정신치료도 효과가 있다.

(주로 계절이 바뀔때 마다 아픈 사람이 위의 경우에 해당 된다.  신랑은 내가 이것
같다고 강력히 주장--그러나 내가 이나이에 계절 타리...)




만성 피로 증후근 (Chronic fatigue syndrome)

 정의
우선 만성피로를 이야기 하기전에 피로에 대해서 간단히 말하면 ´피로´란 일을 과도하게 하여 육체적, 정신적으로 탈진한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나 보통 말하는 피로는 이보다 더 주관적인 개념이 포함되어 귄태감이나 지루함까지도 포함되어 혼용되고 있다. 피로에 종류에도 운동이나 식사후 또는 주말후에 오는 생리적인 피로에서, 충분한 휴식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피로감을 느끼는 증상이 6개월 미만으로 지속될 때를 급성피로, 6개월 이상 지속 될 때를 만성피로라고 말할 수 있다.
 증상
만성피로 환자들이 주로 호소하는 증상은 역시 피로감이 가장 많고, 미열, 수면장애, 정신집중이 잘 안되고, 평소와 다른 두통, 인후통, 목주위에 임파선이 커지거나, 근육통 및 관절통의 증상을 자주 호소한다.
 원인
만성피로의 정확한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면역계통에 어떤 이상이 있지 않나 생각되고 있다. 또한 일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상일 수도 있다. 환자의 약 2/3에서는 우울증, 신경증, 불안감 등의 정신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진단
1. 필수 진단기준(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

①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피로감 또는 쇠약감

- 잠을 충분히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 평소 활동량이나 의욕의 50%도 되지 않는다.

② 만성 피로를 동반하는 다른 질환이 배제되어야 한다.
예) 암, 자가면역질환, 감염, 만성 정신 질환, 근신경계 질환, 내분비계 질환, 약물중독, 기 타 간, 심장, 폐, 콩팥 등의 중요 장기 질환이 배제되어야 한다.

2. 기타 진단기준

① 미열 (37.6℃에서 38.6℃사이의 열)
② 인후통
③ 목 또는 겨드랑이의 임파절 통증
④ 설명할 수 없는 전신 쇠약감
⑤ 근육통
⑥ 전에는 힘들이지 않고 했던 운동을 한 후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피로감
⑦ 평소와 달리 새로 발생한 머리 전체로 오는 두통
⑧ 붓거나 발적이 없는 이곳 저곳 돌아 다니는 관절통
⑨ 신경-정신적 불편을 호소 : 눈부심, 일시적 암점(暗點), 건망증, 지나친 성급함, 혼동, 집중력 감소와 사고력의 저하, 우울,
⑩ 수면의 변화 : 지나치게 잠만 자거나 또는 불면증
⑪ 환자가 증상이 갑자기 또는 최근에 생겼다고 말함.

3. 신체 진찰기준

① 미열 (37.6℃ ∼ 38.6℃)
② 비삼출성 인두염
③ 만져지거나 통증을 느끼는 목 또는 겨드랑이의 임파절 (크기는 2센티 미만)

☞ 진단 기준은 필수 진단은 두항목이 반드시 있고 기타 진단기준이 6개 이상이고 신체 진 찰기준이 2개 이상이거나 또는 기타 진단기준이 8개 이상인 경우 만성피로 증후군이라 진단할 수 있다.
 치료
우선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다른 질환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해 보는 것이 좋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경우는 혈액검사상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것이 보통이고, 만성피로 증후군의 모든 증상을 말끔히 치료할 약을 현재로는 없으므로 매우 불편한 증상위주로 약물치료를 하 여 증상을 약화시키는 것이 최선책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들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회복되므로 다음과 같은 지침을 통해 완치 될동안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좋다.

(나는 아무래도 피로가 누적되어서 이러는 것 같다 - 시간이 약이고 적절히 쉬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Yuppie Flu (유피형 인간이 잘 걸리는 만성피로 증후근)

유피형 인간에게 나타나는 만성피로 증후군, 내가 유피형 인간인가????

------------------------------------------------------------------------

어제 저녁 신랑을 잡고 요즘 너무나 피곤한 나의 증상에 대해서 호소
뭐 그렇다고 그가 의사가 아닌데 어떻게 해줄수도 없지만
내일 영국인 의사와 상담을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를 신랑을 잡고
풀고 있는데 신랑은 꽤나 심각하게 내 증상에 대한 결론을 내렸다.
뭐 말은 위의 세 증상인데
신랑왈 잘 먹고 푹 쉬면 괜찮을 거야...
늦게까지 컴퓨터앞에 앉아 있지 말고 일찍 자...

http://kr.blog.yahoo.com/gayong19/trackback/10195/1367821
기본 토돌이 2005.05.11  09:28

그 말씀도 맞네요. 일찍 자고.. 컴퓨터 덜 하고. ^^;;;
그래도, 뭐.. 항상 주부라는 일이 언제 끝나고 시작하고가 확실히 있는 일도 아니고.. 이래저래 피곤하기만 하죠, 뭐..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개구리아줌마 2005.05.11  17:22

밤늦게 커피드시지 말고 잠을 푹 주무시구.....
블로그하신다고 스트레스받지 마시구요...
비타민챙겨 드시구....
커피대신 황기차같은거 드시면 좋을텐데 그곳에선 구하기가 힘들겠죠?
황기가 비싸지두 않으면서 효능은 참 여러가지로 좋더라구요.
신경이 예민해서 먹으면 잘체하고 쉽게 지치는 사람에게도 좋고
양기를 북돋아주고 피곤을 풀어주기 때문에 기운을 차리게 해준다네요...
제가 지금 다려 먹고 있거든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개구리아줌마 2005.05.11  17:23

해피맘님 블로그를 보면서 몸이 자주 안좋으신거 같애서...
안타까운 마음에 얘기가 좀 길어졌네요....
건강 잘 챙기세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오즈 2005.05.11  18:23

해피맘님은 얼마나 컴 앞에 계신진 모르겠지만...
블로깅하는 시간 정도로도 전 충분히 피곤이 느껴지더라구요...
글구...이것이 중독과 비슷해서리...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ronnie 2005.05.12  00:16

저도 만성 피로 증후군 같아여~~ -_-;;
그런데
전에 TV에서 본 건데 우리 몸메 중금속이 많이 쌓였을 때도 저런 극심한 피로와
무기력증을 느낀다고..
전 그것도 좀 의심이 되는데.. 어디가면 몸속 중금속 수치를 측정할 수 있나요~~ (헉!) -_-``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5.05.12  01:00

로니님...중금속 이요....
아이고 금속 탐지기 검사대 지나 갈때 조심 해야 겠어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5.05.12  01:06

오즈님...그렇게 오래 사용은 하지 않는데. 그래도 늘 마음이 컴퓨터로
가고 싶어 하죠..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5.05.12  01:09

개구리아줌마님...정말 늦은 저녁의 커피는 줄여야 겠어요...
어떤 날은 초저녁에 잠깐 눈 붙이고 10시 넘어서 커피 마시고 늦게까지
잠 못자고...
황기차 구해서 먹어 봐야 겠어요..
정말 기가 빠진것 같아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5.05.12  01:18

토돌이님...잠도 버릇 인것 같아요..
저는 야행성이라서 일찍 자면 손해 본것 같아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한미엄마 2005.05.12  11:49  [61.106.87.164]

마크의 말이 정답입니다.^^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Happymum 2005.05.13  07:57

한미엄마님...오직 저녁 시간만이 제 시간 이라서...
한미도 예쁘게 잘 자라고 있지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경은공주 2005.05.13  11:23

남편들은 아내가 아프면 항상 하는말이 푹~~쉬라고 하지요...
하지만 쉴수있게 만들어 줘야 쉬는거 아니겠어요...
아이들은 계속 엄마를 찾는데 누워있을 수도 없고, 또 집안일은 누가 대신
해주는것도 아니고... 에고^^;; 엄마.아내.며느리는 정말 힘든 자리예요...
저도 거의 2주째 감기때문에 고생을 하고 있어요... 영~낫지가 않네요...
해피맘님 아프면 나만손해...아시죠^^ 빨랑 나으세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코코은 2005.05.15  06:24

저도 걱정이 되는군요.
뭐 또 다른 설에 의하면 칼슘부족일 때도
우울해지고 초조해지고 그런다던데...
헉! 또 한명의 돌팔이 등장...건강 잘 챙기셔서
미셀과 세라의 그 귀연 얼굴에 그늘이 생기면 안돼요....
빠른 복귀 바래요.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미목 2005.05.16  13:04

마저 일찍 자는건 정말 손해인거 같단 말에 찬성..^^
하지만 그건 체력이 튼튼해야 하는게 필수중에 필수..
해피맘님...저야 머슴과 체력이지만...해피님은아닌거 같으니
좀 쉬셔야 할듯... 근데 쉰다는게 모든걸 손에서 띠는게 아니라
좋은것만 가끔 내가 하고 싶은것만 하고
자신의 필수라던지 의무라던지..이런거에서 조금 해방을 시켜보세요
그런게 여유인거 같아요 하지만 알아요 엄마, 아내의 자리가
해방시킬 수 있는게 아니란걸.. 해피맘님 아자아자..^^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미목 2005.05.16  13:08

나의 스트레스 해소법은 음악 볼륨을 아주 마니 크게 틀어놓고 듣는거
울 아들왈..엄마 1층에서도 들린다 우리집 5층....
울친구는 단독주택에 사는데 옥상에 가서 맥주병 빈병 5~10개 구해서..
(참고로 집1층이 수퍼세줘서 항상 병이 있다고 함...)
옥상코너로 가서 집어 던진다고 함 병깨지는 소리에 소깅 후련해진다나..
집주인이기 망정이쥐 ... 암튼 옥상구석자리엔 병조각들이 있다고함...
근데 정말 속시원한 소리가 날까? 함해보고 시퍼...해피맘님도 함해봐여...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기본 sheenne 2005.05.29  23:43

음... 내 생각은... 신랑 말씀도 일리가 있는 것 같다... 만약 육체적 피로를 가져오는 거라두 정신적인 활기와 기쁨을 준다면 계속 무리않는 수준에서 고우 어헫 하는 것두 괜찮을 것 같다만... 암튼 덜 먹더라도 잠은 되도록 잘 자면 좋겠어...

답글쓰기

답글쓰기

답글쓰기 입력폼 닫기
답글쓰기 입력폼

댓글쓰기

댓글쓰기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