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런던이 유럽 주요 도시 가운데 생활비가 가장 많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랑스 파리가 그 뒤를 바짝 뒤따랐다.
31일 국제투자은행 드레스드너 클라인보르트 바서슈타인타인이 최근 250개 제품과 서비스 비용을 종합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런던 생활비는 유로화(貨)를 쓰는 유럽내 12개국 평균치보다 5.3%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파리는 유로존 평균에 1.3% 높았고 독일 프랑크푸르트는 0.8% 웃돌았으며 벨기에의 브뤼셀과 스페인 마드리드는 평균에 각각 0.4%, 2.5% 싼 것으로 나타났다고 파이낸셜 타임스는 전했다.
유럽연합(EU)에 편입됐지만 아직 유로권에는 들어가지 않은 폴란드 바르샤바의 는 평균보다 21.7%를 밑돌아 유럽 주요 도시 가운데 가장 생활비가 싼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또 유럽 도시간 물가차이가 점차 좁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6월 발표된 다른 보고서에서 런던은 높은 주택가격과 교통비로 유럽에서 가장 생활비가 많이 들고 전 세계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 이 조사에서 일본 도쿄와 오사카가 각각 1-2위, 파리는 12위에 올랐다.
-------------------------------------------------------------------------------------
이 기사를 읽고 느낀것들을 몇가지 적으려 한다.
모든 사람들이 런던의 물가가 비싸다고 한다.
우선 집값이 비싸다. 그리고 교통비도...
하지만 런던 외곽의 주거 타운의 집값은 강남보다 싸다가 생각한다.
어떤 한국인이 특히 서울에서 중산층의 삶의 질(?)을 런던에서
똑같이 유지 하려고 한다면 정말 많은 돈을 필요로 할것이다.
생활의 기본이 되는 의,식,주....
런던은 기본적으로 집값이 비싸고, 교통비가 비싸고, 외식비도 비싸다.
이 비싼 곳에서도 사람들은 산다.
어떻게 살아 가는가.
집은 주로 장기 융자로 마련해서 평생을 일해서 조금씩 갚아가고
그 융자가 끝나면 거의 은퇴하고, 그 집을 팔아서 주로 노후자금으로
쓴다.
식료품 쇼핑은 주로 일주일에 한두번씩 보고, 자기의 형편에 맞는
수퍼마켓을 이용한다.
그리고 그 수퍼마켓에서도 자기 주머니에 맞게 장을 본다.
예로,
Waitrose, 마크 앤 스펜스 같은 수퍼는 좀 고급스럽고
세인즈, 테스코는 중간
그리고 모리슨, 알디,리들 같은 아주 저렴한 가격의 수퍼도 있다.
또 한가지
패션을 이야기 할때
뉴욕,런던,파리, 그리고 동경이나 이태리를 이야기 하는데
런던에서 살다가 보면 왜, 런던을 패션의 중심이라고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영국인들은 정말 옷 잘 안 사입고 옷에 돈쓰지 않는다.
영국에 살면서 많은 한국인들이 의류의 질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비싼것은 너무 비싸고
싼것은 너무나 질이 나쁘다.
중간 가격의 의류가 없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체리티 샵이라는 곳에서 중고 의류를 구입해서
입는다.
인건비 비싸고,
모든 공공요금이 비싸고
의,식,주의 모든것이 비싼곳...
그래도 많은 사람이 산다.
어떻게..................답은
절약이다...
그것 밖에 없다..
그러니까, 촌스러운 런던사람 보고 놀라지 말기를....
꼬리글 - 해피맘이 런던에서 살아가는 한 방법인
이베이 이용하기는 다음에 적을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