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거울 - 이 상
핵심 정리
주제:자아의 분열과 갈등
분열된 삶을 누리는 현대인의 비극적 자아상
제재:거울
성격:주지적,관념적,자아 의식적 - 주지시, 관념시
출전:<카톨릭 청년>(1934)
표현상 특징:역설적 표현, 자조적 어조
자의식 세계 표출(자동기술법)
초현실주의의 영향(초현실주의의 특징:무의식의 세계, 자동 기술법, 의식의 흐름)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
저렇게까지조용한세상은참없을것이오.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오.
내말을못알아듣는딱한귀가두개나있오.
거울속의나는왼손잽이오.
내악수(握手)를받을줄모르는---악수를모르는왼손잽이오.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를못하는구료마는
거울아니었든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만이라도햇겠오.
나는지금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늘거울속의내가있오.
잘은모르지만외로된사업(事業)에골몰할께요.
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反對)요마는
또꽤닮았오.
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진찰(診察)할수없으니퍽섭섭하오.
시상 전개
거울 속의 나:본질적 자아,무의식의 세계,이상적 자아(원초적)
거울 밖의 나:현실적 자아, 의식의 세계,일상적 자아(현상적)
제1연:거울 속의 밀폐된 세계
거울:자의식의 세계, 현실과 차단된 세계.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 현실 세계의 소리가 거울 속에는 반향되지 않는다.
조용한세상:거울 안과 밖의 이질성(거울 속의 세계와 밖의 세계가 단절됨)
제2연:의사 소통의 단절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오.
본질적 자아
내말을못알아듣는딱한귀:현실적 자아와 본질적 자아의 분열과 단절
제3연:자아 상호간의 단절
내악수(握手)를받을줄모르는 : 현실과 타협을 모르는
내악수(握手)를받을줄모르는--악수를모르는왼손잽이오:현실적 자아와 본질적 자아의 분열과 단절
제4연:거울 때문에 '나'와 대면이 가능함
제5연:자아의 이중화
외로된사업(事業):참된 자아를 찾는 일
제6연:분열된 두 개의 모순된 자아
참나:현실적 자아
섭섭하오:주체-거울 밖의 나.자아 분열에 대한 시적 자아의 감정 표현
해설 및 감상
이 작품은 한 사람 내부의 자아와 자아 사이의 분열을 다루고 있다. 두 개의 자아란 좀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현실 속에 살아가고 있는 `나'와 그것을 의식하는 반성적 자아로서의 `나'이다. 이 두 자아는 거울이라는 사물을 통해 맞부딪힌다. 이 경우 거울 밖에 있는 `나'가 현실적 자아이며, 거울 속에 비친 `나'는 반성적 자아에 해당한다고 해석된다.
두 자아 사이의 관계는 마지막 연의 `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요마는 / 또꽤닮았소'라는 구절에서 간결하게 나타난다. 거울 속의 나(반성적 자아)는 현실의 나를 비춘 것이어서 아주 닮았지만, 왼쪽과 오른쪽이 바뀌었으니 곧 서로 반대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닮음과 불일치가 이 작품의 표면적 의미를 이룬다. 우선, 거울 속의 나에게는 귀가 있지만 내 말을 알아듣지는 못한다. 또 거울 속의 나는 내가 악수를 하자고 오른손을 내밀면 같은 쪽의 손(즉, 왼손)을 내밀기만 하니 왼손잡이이며, 내 악수를 받을 줄 모르는 딱한 존재이다. 이와 같은 내용들은 이상이 느꼈던 자아의 분열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현실적 자아와 반성적 자아는 많이 닮아 있으면서도 서로 반대이며, 현실적 자아가 말을 걸고 악수를 청하는 등 의사 소통을 시도해도 그것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둘 사이에는 영원한 분열과 불일치가 있는 것이다.
이 괴로운 사실에 대해 그는 `거울이아니었던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만이라도하겠소'라는 것으로 마음의 위안을 삼으려 한다. 그러나 그것은 슬픈 위안이다. 거울의 비유를 넘어서 그 뒤에 있는 의미를 생각할 때 이와 같은 자아의 분열은 결국 현실과 이상, 행동과 의식을 일치시키지 못한 채 괴롭게 살아가야 하는 데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그는 거울, 즉 반성적 의식의 저편에 있는 자아에 대해 `잘은모르지만' 외로된 사업에 골몰할 것이라고 유머러스하게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웃음 섞인 표현의 뒤에는 자기 자신의 내부적 분열에 대한 씁쓰레한 태도가 깔려 있다.
이와 같은 한 개인의 내부적 분열은 「오감도 ― 제1호」에서 본 파괴된 인간관계와 함께 이상이 괴로워하였던 메마른 세계의 모습이다. 그 속에는 의식과 행동, 이성과 감정, 반성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 등의 사이에 조화로운 통일이 이루어지기를 갈구하면서도 그 불가능함에 절망했던 불행한 천재의 모습이 깃들이어 있다. [해설: 김흥규]
* 이 시는 현대인이 겪고 있는 자아의 분열을 초현실주의적 기법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시적 자아(거울 밖의 나-일상적 자아)에게는 거울 속의 세계(자의식의 세계)가 전연 낯선 공간이다. 거울 속에는 자기와 꼭 닮았으면서도 자기와 반대로만 행동하는, 자기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또 하나의 자아(거울 속의 나-본질적 자아)가 있다. 그러나 거울 속의 나는 '외로된 사업'에만 골몰할 뿐, 악수를 하려고 해도 악수를 할 줄 모르기 때문에 악수를 할 수가 없다. 따라서 거울 밖의 나는 거울 속의 나와 의사소통을 할 수가 없고, 그 실체를 만져볼 수도 없다. 그래서 둘 사이에는 영원한 분열과 불일치가 존재하게 되고, 본질적 자아의 참모습을 인식할 수 없는 일상적 자아는 고뇌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반어( Irony):모순 관계(겉과 속이 다름,참뜻과 반대되는 말,독자 관심)
예) 참 미녀고 말고 - 추녀
역설(Paradox):모순 관계(하나의 진리를 진술,속담)
예) 천재와 백치는 종이 한 장의 차이
위의 글은 야후에서 외로된 사업이라고 서치하면 이상의 거울이라는 시가 나온다.
그 글을 옮긴 것이다.
그리고 나의 블로그 이름이 왜 외로된 사업인가를 궁금해 하는 분들이 있어서
이렇게 옯겨 보았다.
우리 엄마는 왜, 이름이 외로운(?( 사업인가, 결혼도 하고 아이가 둘이나 되는데도 많이 외로운가
물으셨다..................?
|
http://kr.blog.yahoo.com/gayong19/trackback/10196/91130
-
sunny 2004.01.05 17:01
-
아하! 그래서 외로된 사업이었군요...어쩌다 거울을 물끄러미 바라볼때가 있는데...거울속의 내모습,즉 본질적 자아는 일상적인 내가 주체가 되어 따라한다고 생각했는데...나도 모르게,,,그만의 외로된 사업에 골몰할 수도~~
답글쓰기
-
-
sheenne 2004.01.05 20:47 [218.50.128.182]
-
어머님도 나와 같은 의문을 던지셨구나.^^
이상의 오감도에 나오는 시 인줄 모르고 블로그 제목에 오타 났다고 네게 모니터 했으니...ㅋㅋ
덕분에 주욱 읽어보니 '딱한 나'를 그려놓은 것 같군...
답글쓰기
-
-
2004.01.06 03:32
-
외로된 사업...무슨 뜻일까 궁금하면서도
운치있는 구절이라 생각했는데...이상의 '거울'과 닿아있었군요. ^^
답글쓰기
-
-
2004.01.06 07:27
-
정혜야, 딱한 너라니?
무슨 그리 심한 말을....
너는 너의 삶을 살고, 그 삶에 최선을 다 하고 있잖아.
어떤 잣대로도 타인의 삶을 저울질 할수 없으니까--
네멋대로 살아라...
답글쓰기
-
-
2004.04.27 19:10
-
오호~~
그래서 외로된 사업이군요...
근데 외로된게 뭐죠?
답글쓰기
-
-
2004.04.28 06:29
-
두사람님...외로된것...그것을 찾아가는 것...
제게, 그것이 화두 입니다
답글쓰기
-
-
리디아맘 2004.05.06 14:39
-
이상의 거울... 외로된 사업 = 참된 자아를 찾는일.. 일맥상통하는군요..
참으로 어려운 사업을 하고 계시는군요..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음으로써
그 사업이 더 하기 힘들져 버렸져.. 그쳐? 나만 그런가?
답글쓰기
-
-
2004.05.06 16:01
-
아니, 리댜엄마 나두 구랭..ㅋㅋㅋ
맨날 남푠한테 내가 없어져 간다고 불평하고 있답니다..저는. 아이들이 저의 자리를 차지하는것도 저라고 남푠은 우기지요...한편으론 그 말도 맞구요.^^
답글쓰기
-
-
2004.05.08 07:32
-
캐더린님...아마 아이들이 우리들의 자리를 다 차지하고 있다가
언젠가 아무런 사전 준비도 없이 떠나겠지요...그 허전함을 느낄까봐 두려워요
답글쓰기
-
-
2004.05.08 07:34
-
리디아님...외로된 사업, ?????????????????????
정말 혼자서 화장실 좀 갈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답글쓰기
-
-
2004.05.12 13:59
-
그래서 외로된 사업이군요.. 참된자아를 찾는 일이라.. 멋지군요..
저도 참된 자아를 찾고 싶어 안달이 나 있답니다.
무직해서 그런지.. 참된 자아라는게 저에게 존재하는 것인지도 궁금하구...
거짓된 자아라는게 또 존재 하는지도 궁금하고..
이 런 것도 아닌 저런 것도 아닌 내가 참된 나 인것 같기두 하고...
이상은 모더니즘 시대의 이상주의자였다면.. 전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사는 무식쟁이라서리... 헛갈려요., 무엇이 자아인지가...
이거 쓰고 보니 더 헛갈리네.. 두서없음..
답글쓰기
-
-
2004.05.13 06:14
-
내가간다님...참된 자아는 커녕..
요즘 아주 엉망 입니다..
답글쓰기
-
-
2004.05.13 10:56
-
해피맘님.. 그건 또 왜.,,흐미..
답글쓰기
-
-
2004.09.21 17:11
-
부모로써, 아내로써, 엄마로써,,, 또, 딸로써,,등등..정말 많은.. role play를 해야 하는 경우가 허다 하죠..혹은.. 진정한 자신이 원하는것은 무었일까 하면서도요.. 지금 몰두해 있는것이 사업 맞내요..보이지 않게..하나씩 쌓다 보면,,후에 나타날..가족의 보배겠죠..^^; 외로우시면..다시 그림을 그리셔요.. 잠시나마..시간이 허락하실런지요?!~ michelle도 같이요~ ^^
답글쓰기
-
-
2004.09.23 11:06
-
제가 꼼꼼히 블로그를 읽어봤어요 하는데,
이렇게 트랙백 달아주시니,.
찾아보기 편하네요 ^^
답글쓰기
-
-
2004.09.26 06:43
-
밍님...다들 외로운 사업이라고 해서...외로된 사업인데..
답글쓰기
-
-
ToughChoi 2005.02.07 06:11
-
어쩐지, 옛날 국어시간의 기억이 어려풋이 떠오른다 했죠.
이상의 시는 너무 관념적이라 저같은 유물론자에게는 어려워요;;
답글쓰기
-
-
2005.09.07 11:09
-
아하! 그렇군요.그런데..잘은 모르겠고..또 알것도 같고요.
답글쓰기
-
-
2006.02.17 11:31
-
이 시, 알고 있었는 데.
그 시에서 나온 말인줄 알지 못했네요.
참 너무 어렵다.
아이들과 남편은 한때 내 곁에 있어서 내 삶을 충만히 해준것으로 감사해야지요. 그들의 인생이 내 인생은 아니니까. 결국은 누구나 혼자아닙니까. 그래서 저는 남들보다 외롭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답글쓰기
-
|
|
|
|
|
|